본문 바로가기

로봇/Robotic Arm

Forward Kinematics (순기구학, 정기구학) ㅡ 4DOF Manipulator 로봇 팔의 운동학(기구학) 이론(2)

728x90
반응형
SMALL

이전 글에서 로봇팔을 운동하기 위한 수학적 표현 방법들을 알아보았습니다.

[로봇 이론/Robotic Arm] - 4DOF Manipulator 로봇 팔의 운동학(기구학) 이론(1) ㅡ Manipulator Kinematics의 수학적 표현과 회전 행렬, 동차 변환

  • 강체의 수학적 표현 ― 회전행렬
  • 오일러 각도
  • 롤-피치-요(RPY) 각도
  • 쿼터니언 방향각
  • 임의의 축에 대한 회전
  • 동차 변환

 

 모두 Manipulaotr Kinematics를 공부하기 위한 수학이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Forward Kinematics순기구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orward Kinematics (순기구학, 정기구학)

  • Denavit-Hartenberg 매개변수
  • Forward Kinematics 해를 결정하기 위한 좌표 변환
  • 4DOF Manipulator Forward Kinematics 계산
  • Product of exponentials

4-DOF 로봇 팔

Forward Kinematics는 로봇을 구성하고 있는 링크와 관절(joints)의 각도와 길이로부터, 로봇이 작업을 하는 말단장치(End-effector)의 위치와 각도를 알아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역기구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단합니다.

동차변환(Homogeneous Transform)을 이용하여 해를 구하게 됩니다.

 

말단 장치의 좌표계를 m-차원 벡터 (m ≤ 6)

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음과 같이 qx의 비선형 관계식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q와 x의 비선형 관계식
이 때, 위 식을 순기구학이라 한다.
벡터 x의 작업 공간

 

 

이는 말단 장치의 좌표계를 다수의 독립 변수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Denavit-Hartenberg(DH) Parameter (대너빗 하텐버그 매개변수)


 

매니퓰레이터 내의 연결된 링크 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구학적인 모델링 방법이 D-H 매개변수 입니다.

공통 법선(common normal)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총 4개의 매개변수로 두개의 링크간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위 그림은 D-H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연결된 두 개의 링크 간의 좌표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D-H 매개변수를 표현하는 방법 : 좌표계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z을 관절의 축방향과 일치 시킨다. z(i) z(i+1)고정

2)  x(i+1) z(i)축과 z(i+1)축을 연장시킨 공통 법선(common normal)에 일치시킨다. 즉, x(i+1) = z(i) × z(i+1)

3) 오른손 법칙에 의하여 y(i+1)이 결정된다.

  • 기준 좌표계 0에서 z0의 방향이 설정된다면, x0과 원점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 마지막 좌표계 n에서 xn만 설정이 된다면, zn과 yn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 두개의 연속적인 축이 교차할 때, xi의 방향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D-H 매개변수를 이용한 두개의 링크간의 좌표 표현 방법의 예

위 그림에서 4개의 D-H 매개변수 다음과 같습니다.

(a) i번째 좌표 시스템에서 z(i)축 방향으로 공통법선 까지의 거리

만약 z(i)축과 z(i+1)축이 평행하다면, 공통법선이 없게 되므로, d는 어떤값이 되어도 관계 없다.

(b)  𝜃 x(i)에서 x(i+1) 까지 z(i)축을 따라서 회전한 각도

(c)  은 공통법선의 거리

(d)  𝜶 x(i+1)축을 따라서 z(i)에서 z(i+1)까지 회전한 각도

 

따라서, 연결된 두개의 링크는 다음과 같은 좌표 변환(i번째에서 i+1번째 좌표계로의 변환)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위 식을 동차변환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orward Kinematics 해를 결정하기 위한 좌표 변환


기준 좌표계(로봇 베이스)에 대한 말단부의 위치 및 각도는 각 관절 사이의 연속적인 좌표 변환을 거쳐 산출되는 최종 행렬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기준 좌표계(x0,y0,z0)에서 말단장치의 종단좌표계(xn,yn,zn) 까지의 좌표변환을 통해 말단 장치의 위치와 각도를 계산합니다.

말단 장치의 위치는 행렬 T에서 4번째 열벡터인 p로 얻을 수 있고,

 각도는 회전행렬 R로부터 계산할 수 있습니다.

 



4DOF Manipulator의 Forward Kinematics 계산


 

 

Figure 2. (4자유도 로봇팔) DH table은 이렇게 됩니다.

 

첫번째 열 ai :     공통법선의 거리

두번째 열 αi :   𝜶  x(i+1)축을 따라서z(i)에서 z(i+1)까지 회전한 각도

세번째 열 di :  d   i번째 좌표 시스템에서 z(i)축 방향으로 공통법선 까지의 거리

네번째 열 𝜃i :   𝜃  x(i)에서 x(i+1) 까지 z(i)축을 따라서 회전한 각도

 

DH table이 준비되면, Transformation matirces(변환행렬)는 찾기 쉽습니다. 

 

 

각각의 변환행렬 (i = 1, 2, 3, 4) 은 쉽게 얻어집니다.

그 후, complete transformation 0T4도 찾을 수 있습니다.

 

 

계산

 

 

 

 

일때,

 

0T4가 결정되면,  end effector의 global coordinates를 찾을 수 있습니다.

 

Fig 2.를 예로 들면, 팔의 4번째 모터의 위치 벡터(4rp)는

이므로, (4번째 모터에서 end effector까지 0,0,0)

(끝 지점의)전체 frame의 위치벡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즉, dx = px, dy= py, dz = pz(0T4 행렬)

0T4 변환 행렬의 마지막 열만 남게 됩니다. 이를 삼각함수 공식을 써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dx, dy, dzglobal end effector coordinates : 좌표계 0을 기준으로 하는 로봇 팔 끝 점의 좌표가 됩니다.

또한, end effector의 방향(각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로봇의 배치는 DH parameters에 흡사하지만, 다른 매니퓰레이터의 구조에서는 이 기구학 방정식 풀이만 쓰지 않습니다. DH convention에 베이스한 매니퓰레이터 기구학 방정식은 몇가지 케이스에서 풀수 없는 특이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DH convention에서는 두개의 관절 축이 평행할 때 공통 법선이 적절히 정의되지 않습니다. 이 로봇 팔 케이스의 DH 풀이법은, 평행한 축의 공간 좌표의 약간의 변화가 잘못된 배치 형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DH convention의 대안인 PE(Product of Exponentials)를 계속 보겠습니다.

 


 

Product of Exponentials(POE)


관절 축을 동반한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각각의 관절 움직임을 사용하여, Kinematics의 기하학적인 표현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duct of exponentials(POE) 풀이법은 DH parameterization의 대안입니다. POE는 관절의 움직임을 최소한의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고, screw 축을 사용한 기하학적인 해석법이라는 이점이 있습니다.

𝜃1...𝜃n 각도의 관절에 관하여 베이스와 툴 프레임 사이의 변환 행렬을 매개 변수화하기 위해 kinematic chanin의 product of exponentials를 결정하는 데 다음 방법이 사용됩니다.

ξ를 twist라고 하면, forward kinematics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식은 로봇 Forward Kinematics순기구학의 product of exponential(POE) 공식이라 부릅니다.

초기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은 다음과 같은 (회전+병렬)행렬입니다.

 

이에 관한 유도는 다음 문서를 참조하세요.

 

직선형 관절에서 ξi는,

 

이고,

회전형 관절에서 ξi는,

 

로 나타내어집니다.

 

결과적으로 알아야 할 것은,

  • ωiR^3 은 fixed frame(base)에서 바라본 회전 축 방향의 단위벡터
  • qi ∈ R^3은 축상의 한 점
  • vi ∈ R^3 는 한 점(qi)에서의 변환 방향을 가리키는 단위벡터
  • g(0) 초기 자세에서 원점과 tool frame의 관계 (4 x 4) 

예제 보기 더보기 클릭

 

 

이므로,

 

이 케이스(4DOF 로봇팔)에서, 로봇의 다른 link의 twist ξ와 gst(0)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니퓰레이터의 forward kinematics map은 다음과 같으므로

POE 공식에 의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위의 DH convention 계산과 같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제 로봇(4-DOF)의 DH convention과 product of exponential을 이용한 kinematics modeling은 서로 같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순기구학(FK) 풀이법을 알아본 것에 이어서, 이제 역기구학(IK) 풀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봇/Robotic Arm] - 2DOF, 3DOF, 4DOF Manipulator 로봇 팔의 Inverse Kinematics (역기구학, 역운동학) 풀이 ㅡ 4DOF Manipulator 로봇 팔의 운동학(기구학) 이론(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