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

(153)
안드로이드 Manifest intent-filter 동적으로 비활성화하기 앱을 런처로 만들어주는 intent-filter를 추가하였습니다. 특정 빌드버전에서는 이를 비활성화 하고 싶었습니다. 위의 intent-filter를 따로 빼서 activity-alias에 넣어줍니다. 다만, 위의 한줄도 같이 넣어주어야 런처 홈화면으로 작동하더라는.. 시작 Activity의 onCreate에서 다음과 같이 추가해주어 활성화/비활성화가 가능합니다. 비활성화 packageManager.setComponentEnabledSetting( ComponentName(packageName, "$packageName.AliasMainActivity"), PackageManager.COMPONENT_ENABLED_STATE_DISABLED, PackageManager.DONT_KILL_APP ) 활성화..
오드로이드 부팅시 하드커널 로고 없애기 https://wiki.odroid.com/odroid-c4/application_note/bootlogo_c4 위의 파일형식으로 이미지를 만들어(이름 똑같이!) 덮어쓰기했습니다. 다만 gz형식으로 압축해야하는데, 그냥 이미지파일만 넣어도된다고하여, 기존에있던 gz파일을 없애고 이미지파일을 넣어주었습니다. PS C:\platform-tools> adb shell odroidn2:/ # cd /odm odroidn2:/odm # rm boot-logo.bmp.gz odroidn2:/odm # exit PS C:\platform-tools> adb push boot-logo.bmp /odm PS C:\platform-tools> adb reboot
오드로이드 부팅시 안드로이드 로고 없애기 안드로이드 로고 없애기 $ adb remount $ adb shell # vi /system/build.prop debug.sf.nobootanimation=1 vi편집기로 파일을열어 debug.sf.nobootanimation=1 한줄을 추가했습니다.
안드로이드 RxBle 사용하기, 예제 안드로이드에서의 ble 예제를 올렸었는데요. [Android/통신] - [안드로이드 Kotlin]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예제 [Android/Architecutre] - [안드로이드 Service] MVVM구조에서 BluetoothLE Service 사용하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Rx를 사용하는 편리한 RxBle 라이브러리를 소개합니다. RxAndroidBle Polidea/RxAndroidBle An Android Bluetooth Low Energy (BLE) Library with RxJava2 interface - Polidea/RxAndroidBle github.com 위의 라이브리러리를 사용해 반응형으로 Ble를 구현한것으로, RxJava에 생소하다면 어려울 수 있습..
안드로이드 네비게이션 바, 상태바 숨기기 전체화면 모드로 아래를 스와이프 하면 네비게이션 바가 보이는 모드입니다. 이전 버전이 deperacated 되었으므로 버전을 나누어 줍니다. /** * Hides the system bars and makes the Activity "fullscreen". If this should be the default * state it should be called from [Activity.onWindowFocusChanged] if hasFocus is true. * It is also recommended to take care of cutout areas. The default behavior is that the app shows * in the cutout area in portrait mode if..
[안드로이드] module(또는 library)에서 flavors 지정하는 법 클린 아키텍처 사용으로 presentation(app)은 data, domain 모듈을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data 모듈에서만 flavor를 나누고 싶었는데, presentation이 의존하고 있으므로, 같이 변화가 필요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data module(gradle) android{ flavorDimensions "mode" productFlavors{ cardreader{ dimension "mode" manifestPlaceholders = [ thingsRequired: "true" ] buildConfigField "Boolean","IS_CARD", "true" } nocardreader{ dimension "mode" manifestPlaceholders =..
livedata의 "androidx.lifecycle.observe is deprecated" 해결 방안 Kotlin 1.4에서 deprecated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viewModel.liveData.observe(viewLifecycleOwner, Observer { result -> }) /* viewModel.liveData.observe(viewLifecycleOwner) { result -> } */ import androidx.lifecycle.observe 를 삭제, import androidx.lifecycle.Observer를 추가합니다.
1차 Low-Pass Filter(저주파 통과필터), High-Pass Filter(고주파 통과 필터) 구현하기, 코드 저주파 통과필터(Low-Pass Filter), 고주파 통과필터 (High-Pass Filter)를 이하 lpf, hpf라 부르겠습니다. 신호 처리를 함에 있어 원하는 신호를 뽑아내기 위해 lpf와 hpf를 사용하여 지지고 볶았습니다. 어느정도 원리를 깨달았죠.. 코드만 원하시면 밑으로 가면 됩니다. ㅎㅎ 책을 참고하였습니다. 1차 Low-Pass Filter lpf는 말그대로 신호의 낮은 주파수 부분을 통과시키는 건데요, 즉 신호의 높은 주파수(예를 들어 진동이나 노이즈)를 없애 신호를 좀더 매끄럽게 만들어 줍니다. 그러므로 자주 사용되죠. 이런식으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Smoothing이라고도 하죠. 그냥 lpf입니다. 단순히 생각하면 lpf를 만들기 위해선 이전 측정값과 현재 측정값에 가중치를..

728x90
반응형
LIST